-
MCP (Model Context Protocol)카테고리 없음 2025. 4. 3. 12:09
MCP (Model Context Protocol) 개념 및 상세 설명
1. MCP(Model Context Protocol)란?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대규모 언어나 AI 모델이 컨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연어 처리(NLP) 모델이나 대화형 AI 시스템에서 컨텍스트를 구조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기존의 단순한 요청-응답 방식과 달리, MCP는 대화의 흐름, 사용자의 의도, 과거 정보를 유지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 MCP의 주요 목적
MCP는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컨텍스트 관리:
- 이전 대화 내용, 상태, 설정 등을 유지하여 일관된 응답을 제공
- 대화 이력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응답 가능
✅ 모델의 일관성 향상:
- 특정 도메인(예: 의료, 법률)에서 전문적인 컨텍스트 유지
-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지속적인 참조 가능
✅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 불필요한 데이터 재전송 방지 (최소한의 정보만 공유)
- 여러 개의 AI 모델과 연동하여 확장 가능
✅ 멀티모달 지원:
-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 형태를 포함하는 컨텍스트 유지
3. MCP의 핵심 구성 요소
MCP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구성 요소 설명
Session Context 사용자와 모델 간의 대화 세션을 유지하는 메커니즘 Memory Store 대화 기록을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참조할 수 있는 저장소 Context Fetching 대화 중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가져오는 프로세스 Intent Recognition 사용자의 의도(Intent) 를 분석하고, 컨텍스트와 연결 State Management 대화의 흐름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반영 📌 예제: 대화형 AI에서 MCP 적용
사용자가 AI 챗봇과 대화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해보겠습니다.
1️⃣ 사용자: "내일 비가 올까?"
2️⃣ AI: "어느 지역의 날씨를 확인할까요?"
3️⃣ 사용자: "서울이요."
4️⃣ AI: "내일 서울은 흐리고 비가 내릴 예정입니다."👉 여기서 MCP는 "서울"이라는 정보를 컨텍스트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 만약 사용자가 다음 질문으로 "그럼 우산을 가져가야 할까?"라고 하면, AI는 "서울의 날씨"라는 컨텍스트를 기억하고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있습니다.
4. MCP의 동작 방식
MCP는 일반적으로 API 또는 프로토콜 형태로 구현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동작합니다.
1️⃣ 요청(Request) 생성
-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텍스트 요청을 생성
2️⃣ 컨텍스트 확인(Context Checking)
- 현재 대화 세션에서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
- 부족한 경우,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요청
3️⃣ 컨텍스트 활용(Context Processing)
- 저장된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적절한 응답을 생성
- 외부 데이터베이스나 AI 모델과 연동 가능
4️⃣ 응답(Response) 반환
- 최적화된 응답을 사용자에게 제공
📌 MCP 요청/응답 예제 (JSON 형태)
{ "session_id": "12345", "user_input": "내일 날씨 어때?", "context": { "location": "서울", "date": "2025-04-03" } }
👆 "서울"이라는 컨텍스트를 유지하여, 다음 응답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MCP의 활용 사례
MCP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AI 챗봇 및 가상 비서
- GPT 계열 AI 모델, Google Assistant, Alexa 등
- 사용자의 대화 이력을 기반으로 더 정확한 응답 생성
- 예: 고객 지원 챗봇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오기
2️⃣ AI 기반 검색 시스템
- 컨텍스트를 유지하여 더 정교한 검색 결과 제공
- 예: "지난주에 검색했던 신발 다시 보여줘"와 같은 요청 처리
3️⃣ 의료 및 헬스케어
- 환자의 병력, 증상 등을 유지하며 맞춤형 응답 생성
- 예: "내가 지난번 병원에서 받은 처방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을까?"
4️⃣ 게임 및 가상 현실(VR)
- 플레이어의 행동 기록을 바탕으로 맞춤형 스토리 진행
- 예: RPG 게임에서 NPC가 플레이어의 과거 선택을 기억하는 기능
6. MCP vs 기존 방식 비교
비교 항목 기존 요청-응답 방식 MCP 기반 방식
컨텍스트 유지 ❌ 없음 ✅ 있음 대화 흐름 유지 ❌ 매번 새 요청으로 처리 ✅ 세션 유지 가능 사용자 맞춤 응답 ❌ 일반적인 응답만 제공 ✅ 개인화된 응답 가능 리소스 효율성 ⬇️ 비효율적 (매 요청마다 전체 정보 포함) ⬆️ 최적화 (필요한 정보만 전송) 👉 기존 방식은 매번 모든 정보를 요청해야 하지만, MCP는 컨텍스트를 유지하여 더 적은 리소스로 높은 품질의 응답을 제공합니다.
7. 결론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AI 모델이 컨텍스트를 유지하면서, 보다 자연스럽고 일관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 사용자 맞춤형 응답 제공
- ✅ 기존의 단순한 요청-응답 방식보다 더 정교한 대화 가능
- ✅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 (챗봇, 의료, 검색, 게임 등)
앞으로 AI 기반 시스템이 더 자연스럽고 똑똑한 대화를 구현하기 위해 MCP는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입니다. 🚀